Ilsik Kim

August 1, 2023

[역도] 몸의 탄력성

종종 제가 즐겨하는 취미로 얻는 인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역도는 제가 4년 넘게 즐긴 운동입니다. 역도는 극한의 집중력과 기술을 요하는 운동입니다. 앞으로 운동을 즐기면서 느끼는 점들에 대해 계속 글을 쓸 예정입니다.

역도는 중력을 이겨내고 바벨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운동입니다. 이를 위해, 역도 선수는 효과적으로 무거운 물체를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두 가지 동작을 훈련합니다. 인간이 찾아낸, 인간의 몸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내는 비법은 바로 몸의 탄력성입니다. 인간의 몸은 단단한 뼈와 지방, 그리고 탄력적인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뼈와 뼈는 근육과 함께 관절이란 부드러운 마디로 이어져 있으며, 인간의 몸은 여러 관절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폭발적인 힘을 발산합니다. 가장 간단한 예로는 쌍절곤을 들 수 있습니다. 단순한 긴 막대기에 비해, 쌍절곤은 두 막대기가 쇠사슬로 연결된 구조입니다. 쇠사슬은 인간의 몸에서 관절의 역할을 합니다. 한 막대기를 잡고 빙글빙글 돌리면, 다른 한 막대기는 원심력의 가속도가 붙어 이후 상대를 가격했을 때 엄청난 힘을 발휘합니다. 역도의 원리는 이와 상당히 유사합니다. 다만 다양한 관절의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복잡한 운동을 구사할 뿐입니다.

바닥에서 바벨을 들어올려 바벨을 위로 띄워올릴 때는 아랫배와 허벅지 위 사이 부위를 이용해 바벨에 힘을 가합니다. 이 느낌은 마치 엉덩이를 살짝 접었다 점프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때 몸을 끝까지 펴야 하는데, 바벨이 잘 뜨면 말 그대로 내 몸과 상관없이 바벨이 공중부양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바벨을 위로 띄우고 나서 빠르게 밑으로 착지해 바벨을 받아내야 하므로, 두 가지 서로 다른 굉장히 폭발적인 운동을 동시에, 아주 빠른 시간에 수행해야 하는 것입니다.

역도의 동작은 수많은 관절과 근육의 복합적인 운동을 요하므로, 수행시 마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듯한 기분을 들게 합니다. 한 부분의 근육, 한 부분의 관절이라도 이상이 있다면 전체적인 소리에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즉, 몸에서 동원하는 요소들이 많아질수록 복잡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이 점이 역도의 어려운 점이자, 매력이기도 합니다.

Ilsik(Dan) Kim
Entrepreneur | Software Engineer

About Ilsik Kim

Hey, welcome to my newsletter. I write short thoughts, mostly about startup, product, software, and workout. If you're interested in my newsletter, please subscribe. Thanks!